코딩 테스트/Baekjoon

S4 10845. 큐

  • -
728x90

  • 정답률 : 49%
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.strip()) dd = deque() for _ in range(n): k = input().rstrip() if k == 'pop': if dd: print(dd.popleft()) else: print(-1) elif k == 'size': print(len(dd)) elif k == 'empty': if dd: print(0) else: print(1) elif k == 'front': if dd: print(list(dd)[0]) else: print(-1) elif k == 'back': if dd: print(list(dd)[-1]) else: print(-1) else: k, a = k.split() a = int(a) dd.append(a)

입력인 k에 따라 pop, size, empty, front, back문을 작성하고,

마지막엔 push인 경우이다.

list 변경 후 출력하는 방식이 시간 복잡도에 걸릴 줄 알았는데, 걸리지 않았다.

320x100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